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19)39 25 지역의 구분과 Scale Linkage 지역 이해 과목은 말 그대로 지역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과목입니다. 학교의 사정 상 자연지리랑 인문지리에 대한 기본 개념을 학습하는 데에 많은 비중을 두긴 했지만, 이제는 과목 본연의 취지에 맞게 지역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들어가려고 합니다. 근데, 지역이 대체 뭐죠? 혹시 동요 중에 그런거 아나요? 바윗돌 깨트려 돌덩이, 돌덩이 깨트려 돌맹이, 돌맹이 깨트려 자갈돌, 자갈돌 깨트려 모래알♬ 하는 그런 노래요. 돌은 쪼개고 쪼개면 조암광물이 나오고, 물질은 쪼개고 쪼개면 소립자가 나옵니다. 그럼 지리에서는 뭘 어떻게 쪼갤까요? 우리 지구에는 사람들이 살고 있고, 이를 세계라고 흔히 부릅니다. 글로벌 사회 자체가 여러분들이 이 학교에서 졸업할 때까지 이해해야 하는 큰 덩어리입니다. 지리에서 추구하는 최종적인.. 2019. 8. 18. 24 농업 우리의 밥그릇에 뭐가 담겨있나요? 우리는 음식을 먹지 않으면 한달도 살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식사. 오죽하면 여러분들은 고등학교도 식사동으로 왔습니다(드립이에요). 그럼 이런 감사한 식사는 어디서 오나요? 대부분이 농축수산물입니다. 농업과 목축업을 합쳐서 농업에서 함께 다루겠습니다. 어쨋든 얘네들은 신석기시대 이래로 인류에게 매우매우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업입니다. 한번 살펴봅시다. 농업을 구분해봅시다. 농업도 생산이라서 생산요소가 중요합니다. 토지와 노동과 자본입니다. 사실 경제시간이 아니니까 지리적인 관점에서 보면 생산 요소 중에서도 특히나 중요한 것이 바로 토지입니다. 같은 면적에 많은 노동력과 자본을 투입하는 농업 방식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노동력으로 넓은 토지를 경작.. 2019. 6. 25. 23 관광과 난민 통합사회시간에 인구에 대해서 신나게 배우고 있나요? 기후나 지형처럼 인구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고, 잘 알아두면 세상 모든 지식에 연결되는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이참에 한번 제대로 잡아놓으세요. 그럼 인구가 이동하는 것들도 배웠죠? 사람이 살던 동네에서 쭉 계속 있지는 않습니다. 인구도 이동합니다. 이동 중에 세계적인 규모로 일어나는 거 몇개만 살펴보려고 하다보니 관광과 난민만 다루게 되었습니다. 시험공부할 내용도 많으니 간단히 가봅시다. 관광은 일상을 떠나 다른 지역을 방문하고 경험하는 것인데, 교통이 발달하고 소득수준이 올라가니까 더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이 내용만 배우는 여행지리라는 과목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에게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하하. 하항. 흐앙. 관광객이 오면.. 2019. 6. 21.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