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19)39 22 전력 우리의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1차 에너지라고 합니다. 지난 시간에 신나게 배웠던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입니다. 이런 에너지를 전환시켜서 우리가 쓸 수 있는 에너지의 형태로 바꿉니다. 우리는 수업만 하려고 해도 에어컨을 켜고 전등을 켜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최종적으로 소비되는 형태의 에너지는 열에너지와 빛에너지입니다. 그럼 1차에너지를 최종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에서 뭐가 중요할까요? 바로 전기입니다. 전력은 우리 현대 문명을 운영하게 해주는 근간입니다. 생각해봐요 전기없는 세상을. 아무것도 못합니다. 당장 오늘도 태블릿에 배터리가 다 되어서 수업 중간에 경고창이 뜨니 몹시 난처했습니다. 전기에너지의 엄청난 장점은 바로 에너지를 보내주는 속도가 빛의 속도라는 점입니다. 엄청 빨라요. 게다가 .. 2019. 6. 21. 21 자원 자원이 뭐에요? 쓸모만 있으면 다 자원입니다. 쓸모만 있다면야 똥도 자원이 됩니다. 새똥이 쌓이면 구아노라는 자원이 되기도 한다구요. 그럼 굳이 자원을 수업에 배우는 이유는 뭘까요? 다 사람이 풍요롭게 살기 위해서 그렇습니다. 풍요로운 삶을 위해서 좀 배워봅시다. 자원이 가진 특성은 유한성, 편재성, 가변성 등이 있습니다. 중학교에서 해봤죠? 유한성은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지구가 하난데 당연히 쓰다보면 언젠가는 끝납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채굴가능한 총량을 매장량이라고 하고, 현재 쓰는 양으로 나누면 가채연수가 나옵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쓸 수 있는지를 나타낸 것입니다. 근데 우리가 쓰는 주요자원이 가채연수가 생각보다 그렇게 길지 않습니다. 앞으로 천년만년 써도 되는 자원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 그 .. 2019. 6. 19. 20 종교 종교는 뭔가요. 인간이 나약합니다. 삶과 죽음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의 원리를 이해하고, 인간의 정신과 육체의 조화를 이루어주고. 하여튼 심오하고 옳고 그른 문제에 대한 판단 근거가 됩니다. 삼위일체나 팔정도, 샤리아 같은 것은 종교 선생님께 여쭤보세요. 우린 공립학교라서 그런가 종교선생님이 안계시니까 철학 선생님께 여쭤보면 종교의 원리 등은 안내해주실 것입니다. 그럼 지리시간에 굳이 종교를 다루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종교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하는 지역이 제법 많습니다. 미국 남부의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나, 아프가니스탄과 시리아의 이슬람교 원리주의자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종교에서는 자신이 속한 집단과 다른 집단을 구분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언어보다 훨씬 강력하게 마찰을 빚는 경우가 많습니다.. 2019. 6. 17.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