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의 세계
인공위성 영상에는 해상도라는 개념이 있다. 공간해상도, 시간해상도, 분광해상도, 방사해상도 등으로 구분한다. 지리교육에서는 공간적 규모를 뜻하는 말로 스케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따져보면 공간해상도와 닿아있는 개념이다. 일기예보의 공간해상도는 점차 정밀해지고 있어, 읍면동 단위로 서비스된다.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500곳 넘게 있고, 100곳이 넘는 곳에서 기상청 직원들이 직접 측정한다. 1904년 부산, 목포, 인천, 원산, 용암포 다섯 군데였던 점을 고려하면 정말 엄청난 발전이다. 인공위성으로 측정도 하고, 공간적 보간법으로 추정도 하지만, 우리의 인구밀도를 고려하면 여전히 아쉬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바로 미기후 때문이다. 소나기를 '소 등 나누기'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는데, 미기후의 극..
2024. 1. 17.
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
수업을 하면 기후대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바로 기후이고, 기후학과 지형학은 생태와 환경을 이해하는 밑그림이 된다. 열대 기후에 거주하는 것과 한대 기후에 거주하는 것은 다르다. 그래서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행태에 대해 함부로 말하는 태도를 조심해야 한다. 열대의 이야기는 전염병이 돌고 미개하다는 관점과, 태초의 인간 본성을 볼 수 있다는 관점이 대표적인 것 같다. 아마도 전자는 환경결정론적 시각의 제국주의적 관점이라면, 후자는 물질문명의 안티테제를 찾는 인류학적 관점이 아닐까 싶다. 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은 열대 이야기가 가득하다.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를 넘나든다. 화산, 산호, 카르스트, 하천, 호수, 아이, 동물, 사냥, 문명..
2023.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