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6 새로운 사회 수업의 발견 강의식 수업은 늘 비판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흔하다. 다수의 학생들에게 내용을 전달하기에 그만큼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교사들도 강의식 수업은 익숙하다. 다만 강의 이후 학생에게 남아있는 가치와 기능과 역량에 대한 아쉬움이 늘 비판받는다. 그래서 탐구 수업은 늘 주목받을 수 밖에 없다. 새로운 사회 수업의 발견은 진한 육수의 맛이 느껴진다. 사진을 분석하고, 모형을 만들고, 추측하고,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훨씬 중요한 수업의 주체가 된다. 배추, 물의 전쟁, 소리 지도 등 그 동안 지리교육에서 접하고 해보았던 사례들도 풍성하게 제시되어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에듀테크도 좋았고, 탐구 과정과 결과물도 좋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야외 조사 부분이 가장 마음을 흔들었다. 모름지기 지.. 2023. 10. 10. 공간정보와 공간분석_09 점지도 작성하기 세계의 해적 발생 현황을 지도화하겠습니다. https://www.icc-ccs.org/index.php/piracy-reporting-centre/live-piracy-report 위도와 경도 좌표가 있으므로 CSV파일로 만들면 지도화할 수 있습니다. 수업시간에 나눠준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됩니다. CSV파일은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구분자로 분리된 텍스트 레이어 추가]에서 열어옵니다. X, Y에 해당하는 필드를 잘 선택해줍니다. 세계의 해적 발생을 나타내는 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2023. 10. 5. 공간정보와 공간분석_08 단계구분도 작성하기 레이어에서 마우스로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열어줍니다. 더블클릭해도 됩니다. 심볼을 누르면 [단계 구분]이 있습니다. 어떤 필드에 있는 값으로 단계를 구분할지, 구분하는 색깔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 선택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계를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같은 값을 가지고 있어도 완전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꼭 상황에 맞게 잘 선택해줍니다. 1인당 탄소 배출량으로 단계구분도를 작성하였습니다. 2023. 10. 5. 공간정보와 공간분석_07 레이어 복사하기와 붙여넣기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객체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누릅니다. 객체를 선택하면 노란 색으로 색칠됩니다. [편집]에서 객체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붙여넣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새로운 레이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2023. 10. 4. 세상에 이런 국경 지역과 지역을 구분해주는 경계는 선의 형태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국경은 그러한 경계 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편이다. 분단으로 인해 우리의 국경 수업은 대체로 영해에 집중되어있으며, 국경 자체의 인식은 꽤나 추상적이다. 세상에 이런 국경은 세계의 다양한 사례를 보여준다. 지리를 배우는 장점 중 하나는 반례를 통해 성급한 일반화가 가지는 한계를 깨닫는다는 것이다. 별별 형태의 경계가 있다는 점을 통해 세상엔 참 다양한 사연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중간 자동번역기 느낌의 문체가 등장해 어색함을 느꼈다. 모든 사례를 순서대로 파악해야하는 것도 아니고 암기해야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흥미 가는 부분만 뽑아 읽어도 될 뻔 했다. 익숙한 사례도 있지만 정말 듣도보도 못한 사례도 많아 신기했다. 2023. 9. 29. 공간정보와 공간분석_06 SHP 열기 QGIS를 실행합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면 이렇게 shp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렇게 레이어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왼쪽에 체크박스를 해제하면 지도 화면이 안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를 여러개 불러오는 경우 선택한 레이어에 밑줄이 그어집니다. 레이어의 위치를 바꾸면 보이는 지도도 달라집니다. 2023. 9. 5. 이전 1 ··· 5 6 7 8 9 10 11 ··· 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