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사우고 수업자료(2017)40 018 기후 요소 지난번에는 기후에 기본적인 이론과 함께 기후 인자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기후를 기후 요소별로 뜯어보려고 합니다. 기후를 이루고 있는 기후요소에는 기온, 강수, 바람을 들 수 있습니다. 차례차례 살펴봅시다.가장 먼저 기온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기온의 특징은 기온의 지역별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은 바로 여름철 기온보다 겨울철 기온입니다. 여름은 전반적으로 많이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위도가 높은 북한지역이나, 고도가 높은 대관령 같은 곳에서는 서늘한 여름이 나타나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겨울의 경우는 다릅니다. 개마고원 주변에서는 매우 춥고 매우 혹독한 겨울이 나타나는 반면, 제주도의 서귀포같은 경우는.. 2017. 6. 9. 017 기후인자와 기후의 특징 수업에 들어가자마자 여러분들이 처음으로 했던 이야기가 바로 "선생님, 더워요" 였습니다. 더운 것이 왜요? 우리는 경험적으로 더우면 찝찝해지고 수업에 집중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땅의 형태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배웠습니다. 고도가 높은 산지에서 물이 흘러 하천을 이루고 바다로 가고, 기반암에 따라 특이하게 발달하는 것까지, 우리의 발 아래에 있는 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배운 셈입니다. 땅을 먼저 배운 이유는 산지보다 평야를 선호하는 것처럼 사람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땅 위를 보려고 합니다. 땅 위에는 여러 기체가 섞여서 켜켜이 쌓여 있습니다. 이 것을 대기라고 부르고, 대기의 상태는 우리에게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이 더워서 수업듣.. 2017. 6. 7. 016 화산지형 카르스트 지형을 배우면서 우리는 기반암의 특성에 의해 지형이 만들어지고 그 위에 살고 있는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편마암, 화강암, 석회암 뿐만 아니라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기반암이 있는 곳들도 제법 있습니다. 그런 지역은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의 발 아래에는 땅이 있고, 땅 아래에는 암석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밑으로 한참을 내려가면 점점 더 압력이 높아지고 온도도 올라가는데, 암석이 액체 상태로 녹아 있는 것을 우리는 마그마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러한 마그마는 지각의 약한 곳을 틈타 올라오게 됩니다. 화강암은 마그마가 올라오다가 지하에서 천천히 식어서 만들어진 암석이라면, 급격하게 올라와서 지표면으로 분출하는 경우도 있습.. 2017. 5. 28.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