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사우고 수업자료(2017)40 009 한반도의 산지 지난 시간에는 엄청 복잡하고 어려웠던 내용을 배웠습니다. 땅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수십 억 년의 이야기였기때문입니다. 우리 땅은 만들어진 지 오래되었고, 중간중간 매우 복잡한 일들을 겪었기 때문에 그 내용이 간단할 수는 없습니다. 너무 부담된다면 과감하게 제껴놓아도 괜찮습니다.이번에는 지금 우리 국토의 모습이 왜 이러한지, 다시 말해 지형이 왜 이렇게 생겨먹었는지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그에 앞서서 뼈 이야기를 좀 해야될 것 같습니다. 우리가 활동하다 보면 힘을 잘못 받아 뼈에 금이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금이 간 뼈는 그 자리가 나중에 부러질 확률이 올라갑니다. 만약 그 금이 한개가 아니라 여러 개의 금이 마구 밀집해있으면, 더 부서지기 쉬울 것이구요.암석도 마찬가집니다. 암석도 힘을 받으.. 2017. 4. 5. 008 한반도 형성과정 지난 시간까지는 우리의 국토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부터는 땅의 모양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유식한 말로 지형(地形)이라고 부릅니다. 땅 지에 모양 형이란 글자를 씁니다. 사실상 땅의 모양인 셈입니다. 땅의 모양을 살펴보는 이유는 그 땅 위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에 끼치는 영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나오는 다른 단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구과학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 문이과 구분 체제에서 문과를 선택한 학생들에게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는 부분이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은 조금만 고민하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걱정 붙들어 매셔도 됩니다. 중학교 사회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다시 조금 끄집어 내겠습니다. 앞으로 지형에 대해 여러 가지를 배울 예정인.. 2017. 4. 2. 007 독도 지난 시간에 영역에 대해서 배웠는데,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하는 것이 있어 따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땅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렇습니다. 독도입니다. 한반도에 부속도서가 3천여 개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 섬을 다 배우지는 않습니다. 서쪽 끝 비단섬은 물론이거니와 백령도, 흑산도도 따로 배우지 않습니다. 남쪽 끝에 마라도도 그렇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 동쪽 끝에 있는 작은 섬인 독도만 자세히 배우는 것일까요? 당연히 답을 알고 있겠습니다만, 바로 분쟁때문입니다. 누가 시비를 걸지 않으면 굳이 먼 바다에 있는 섬 하나를 자세히 배울 것까지는 없을 것입니다. 그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독도는 어떻게 만들어진 땅일까요? 동해에서 만들어진 땅입니다. 동해는 서.. 2017. 3. 2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