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사우고 수업자료(2017)40

021 기후변화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기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기후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 예를 들면 차를 생각해봅시다. 차나무는 매우 따뜻하고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차나무의 고향이 중국 남부지방이니까, 그쪽의 기후를 생각해보면 됩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 차나무는 어디에서 살 수 있을까요? 당연히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은 곳에서 잘 살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차 하면 떠오르는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전라남도 보성입니다. 보성은 남해안에 인접한 곳으로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차 재배의 최적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접한 남해안의 하동도 차의 생산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차가 따뜻한 곳에서만 자라는 작물이다보니, 일정한 위도 위에서는 자랄 수가 없게 .. 2017. 6. 25.
020 국지기후 지금까지 기후의 큰 틀에 대해서 배웠다면 오늘 다룰 내용은 사실 자투리에 가까운 내용입니다. 지금까지의 기후는 크고 거대한 이야기를 다뤘습니다. 기후가 지구 전체, 중위도, 대륙 동안, 우리나라, 어느 지역 등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다룬 것보다 훨씬 작게 어느 동네에서 나타나는 기후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보통 국한된 지역이라는 뜻에서 국지기후라고도 부르고, 작다는 뜻에서 미기후라고도 부릅니다.그럼 그런 특이한 기후를 배우는 이유를 주는 도시기후부터 살펴봅시다. 도시의 면적은 국토의 면적에 비해 매우 작은 부분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인구의 거의 대다수가 도시지역에 모여살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에서 나타나는 기후는 사실 인간들에게는 훨씬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도시는 도시가 아닌 지역에.. 2017. 6. 25.
019 계절과 주민생활 지난시간까지 기후의 기본 개념과 우리나라 기후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의 기후 특징을 시기별로 나누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한국을 소개하라고 하면 항상 먼저 나오는 말이 바로 '사계절이 뚜렷하고..'로 시작하는 문장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계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부터 살펴봅시다.그 답은 공기에 있습니다. 같은 성격을 지닌 공기의 덩어리를 기단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기단은 출신동네의 특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중위도에 있어서 주변에 있는 여러 기단이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이러한 기단의 영향력이 강해지고 약해지는 상황에서 우리에게는 계절이라고 불리는 변화들이 생겨나는 셈입니다.먼저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시베리아 기단입니다. 시베리아는 우리나라의 북.. 2017.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