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사우고 수업자료(2017)40 024 지역과 지리조사 다들 방학은 잘 보냈나요? 한국지리 2학기도 힘차게 시작합니다.먼저 지역에 대해 배워볼 예정입니다. 교과서상에는 조금 더 뒤로 가 있는데, 실제로 지리조사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보니 지역구분을 먼저 배우려고 합니다. 실제로 야외로 나가서 눈으로 보고 직접 물어보고 하면 더 좋을 것 같은데, 여건이 아쉽기만 합니다.지리에서 매우 자주 다루는 개념인 지역은 무엇일까요? 어떤 범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리적으로는 다른 곳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면 지역이라고 부릅니다. 수도권의 토지피복도을 통해 도시지역을 분류하는 것도 같은 가능합니다.각 지역은 모두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지역성이라고 부르는데, 보통 지역성은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지고 변화합니다. 예를 .. 2017. 8. 21. 023 식생과 토양 지금까지 우리는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산지가 어떻고, 해안이 어떻고, 기온이 어떻고 하는 것들은 모두 우리 인간이 한반도에 살기 전부터 그래왔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자연환경을 생각할 때에는 가끔 인간이 없다고 가정을 하고 상상한 뒤에, 인간활동을 추가하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이해하기 좋을 때도 있습니다.만약에 한반도에 인간이 없다면 강릉에 사는 다람쥐가 땅을 한번도 밟지 않고 인천까지 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시 말해 한반도 전체는 숲으로 빽빽하게 뒤덮여 있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지표를 덮고 있는 식물의 집단을 식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식생은 일반적으로 기온이나 강수 등 기후의 특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식생 분포에서도 마찬가지로 기후의 영향이 강.. 2017. 6. 25. 022 자연재해 수업시간 중에 갑자기 땅이 흔들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맨날 배워서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막상 상황이 터지면 연습이 잘 되어있지 않아서 혼란스러운게 사실입니다. 불과 작년에 경주에서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사람들은 크게 충격을 받았고, 카카오톡은 일시적으로 마비되었습니다.자연현상은 늘상 일어나는 것이지만, 이 것들 중에 일부는 우리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 인간에게 큰 피해를 주는 자연현상을 자연재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그러한 자연재해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먼저 우리가 딛고 있는 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입니다. 먼저 지진입니다. 지진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갑자기 방출되면서 지표를 흔드는 현상입니다. 지진의 경우에는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미리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 2017. 6. 25.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