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5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33국내외국인 한국계 주민들만 한반도 밖에 사는 것이 아닙니다. 당연히 한반도 밖에서 온 사람도 한반도에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에 있는 외국인에 대해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당연히 고조선 이후로 이미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왔습니다. 위만은 중국계이고, 조선에 온 벨테브레는 네덜란드 사람이었습니다. 외국인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 규모가 엄청 크지는 않았고 자연스럽게 귀화해서 동화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이른바 선진국의 대열에 들기 시작하면서 외국인의 인구 규모도 엄청나게 성장하였습니다. COVID-19라는 초유의 감염병 사태를 겪으면서 조금 줄기는 했지만, 200만 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살고 있는 대표적인 외국인 집단을 사례로 살펴보겠습.. 2021. 8. 27. 세계문제와미래사회_32한국인디아스포라 이번에는 코리아 디아스포라입니다. 한국의 인구이동은 그야말로 다이나믹합니다. 우리가 배운 거의 모든 형태의 인구이동 사례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코리아 디아스포라를 따라가며 동포 사회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규모가 큰 재미동포입니다. 하와이 농장에 이주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유학생이나 독립운동가 등이 본토에서 활동한 바 있습니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에는 동맹국이 되면서 미군이 한국에 주둔하게 되었고, 전쟁으로 인한 고아가 미국에 많이 입양되었습니다. 재미동포는 모든 재외동포 중에 인구 규모가 가장 크고, 입국시기나 주민 구성 등이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미동포 사회에서 가장 기억할 만한 사건은 역시 1991년의 LA폭동입니다. 재미동포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도시가 L.. 2021. 8. 26. 세계문제와미래사회_31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는 흩뿌린다는 뜻입니다.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의 인구이동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는 편인데, 사실 유대인들의 인구이동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유대인들은 유대교라는 종교가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집단입니다. 유대인들은 서남아시아의 팔레스타인 일대에서 주로 살고 있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 왕국 시절에도 이주를 당하기도 했지만, 특히 고대 로마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유럽 대륙 곳곳으로 이주한 점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당연히 어디에서든 소수였습니다. 상공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아 경제적인 지위가 높은 경우들이 있었는데, 반유대주의를 내세운 나치의 박해로 인해 미국으로 많이 이주하기도 했습니다.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던 유대인들에게도 근대 민족주의의 흐름은 이어졌습니다. 유럽 각국이 민족국가.. 2021. 8. 2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