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59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8지구타원체 오늘 배우는 내용부터는 공간지각능력이 조금 필요합니다. 머리 속으로 지구를 만들어야하거든요. 한번 달려봅시다. 일단 지구부터 시작합시다. 지도는 지구를 그린거니까요. 지구에서는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표현합니다. 경선은 남극과 북극을 잇는 선이라서 자오선이라고도 부릅니다. 런던 외곽을 기준으로 해서 동쪽으로 180°, 서쪽으로도 180°입니다. 이러한 경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위선이 있습니다. 적도를 기준으로 해서 북쪽으로 90°, 남쪽으로도 90°입니다. 경위도를 읽는 방법으로는 보통 60분법을 많이 이용합니다. 도(°), 분('), 초(")로 구성되어 있는 방법인데, 1도는 60분이고 1분은 60초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면 지구상에서 위치를 표현하는데, 이미 여러분들이 중학교에서 배.. 2021. 9. 15.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7지도의구성요소 지도는 땅 그림입니다. 지도는 그래서 땅 그림이 핵심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끝은 아닙니다. 지도는 약속이라서, 지도가 지도로 쓸모가 있으려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지도가 제공될때 해당 지도가 어떤 지도인지를 함께 밝혀주는, 지도 자체에 대한 정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지도의 구성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제목입니다. 사람에도 이름이 있는 것처럼, 당연히 지도에도 제목이 있어야 합니다. 사용 목적과 범위에 따라 판단할 수 있게, 제목은 지도의 내용과 반드시 일치해야합니다. 보통 제목은 지도의 상단이나 하단에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축척도 있습니다. 지도는 지표면을 줄여서 만들었으니, 그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반드시 알려줘야 합니다. 축척을.. 2021. 9. 10.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6통계지도 이번 시간에 다룰 주제는 통계지도입니다. 통계지도는 우리가 앞으로 자주 접할 지도의 형태입니다. 아무래도 공부를 할 때에는 일반도를 많이 보긴 합니다. 다양한 지리정보가 가득하니까요. 하지만 실제 지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때에는 주제도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지도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세지가 있는데, 정보가 너무 많은 일반도가 제시되면 메세지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제도가 흔한데, 주제도에서 표현하고 하는 정보가 숫자로 되어 있는 통계정보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래서 통계정보를 표현하는 통계지도를 접할 일이 많습니다. 통계는 어쩔 수 없이 지리와 밀접하게 닿아있습니다. 통계학은 statistics인데, state가 바로 국가입니다. 그러니까 통계학은 국가에 대한 정보를 모.. 2021. 9. 10. 이전 1 ··· 3 4 5 6 7 8 9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