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59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1지리정보 1차고사가 다가오고 하니 이제 진도 나가는 분량을 줄여보겠습니다.오늘 배울 내용은 지리정보입니다.지리정보는 공간정보, 속성정보, 관계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간정보는 위치나 형태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속성정보는 장소의 자연적, 인문적 특성에 대한 정보입니다. 예를 들면 경기도에 있는 학교의 개수는 경기도에 대한 속성정보에 해당합니다. 관계정보는 다른 장소와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고양시와 파주시가 맞닿아 있다는 점은 관계정보에 해당합니다.공간정보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치는 절대적 위치와 상대적 위치가 있습니다. 절대적 위치는 변할 일이 잘 없는 위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리적 위치와 지리적 위치로 구분됩니다. 수리적 위치는 좌표를 생각해보면 됩니다. 지구상.. 2021. 9. 27.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0도법 도법은 지도를 그리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투영법이나 도법이나 projection입니다. 지난 수업에서 다룬 투영법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이번 수업에서는 일부러 도법이라는 표현을 쓰겠습니다. 투영하면 지도가 그려지니까 투영법이 도법은 맞긴 한데, 도법들을 살펴보면 알겠지만 지도는 수학적으로 계산해서 그린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구체인 지구를 펼쳐서 지도로 만드는 방법이니까 당연히 엄청나게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도법의 수가 많다는 뜻입니다. 그렇다고 모든 도법을 다 살펴볼 능력도 없고,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주요 도법 몇 가지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살펴볼 도법은 메르카토르도법입니다. 이미 한번 등장했던 도법입니다. 원통도법인데, 광원은 지구 중심에 있고 투영면과 지구는 적도에.. 2021. 9. 24.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9지구투영법 지구는 입체인데 지도는 평면입니다. 모든 것들은 여기서 시작합니다. 지구는 구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지구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싶으면 지구의로 만들어야합니다. 수업시간에도 그래서 대형 지구의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하. 봐서 알겠지만 엄청 무겁습니다. 부피도 커서 보관도 이동도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지구의는 한번에 반쪽만 볼 수 있고, 다른 반 쪽은 볼 수가 없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지구의도 디지털로 구현가능해졌습니다. 브이월드가 대표적이고, 구글어스도 있습니다. 물론 좋긴 하지만, 매번 지리정보를 불러와야만 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유비쿼터스 환경이 되었지만,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면 의미가 없는 셈입니다. 결국 스마트폰을 쓰는 시대에도 여전히 지도는 유용합니다. 대형 포털 등에서도 지도 서비스를 제.. 2021. 9. 15. 이전 1 2 3 4 5 6 7 8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