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59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0좌표 오늘 배울 내용은 공간데이터를 GIS프로그램에 가져오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도형표현도도 다루겠습니다. 기분이 왠지 지진을 다루고 싶습니다. 지진에 대한 데이터를 구해야겠죠? 어디서 구하면 좋을지 고민을 해봅니다. 오늘은 좌표가 있는 공간정보를 불러오는 실습을 해보았습니다. 규모가 아니라 깊이 등의 속성으로 지도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표현하는 연습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업은 여기까지입니다. 2021. 11. 2.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9웹기반 GIS의 변화 흐름을 다루면서 웹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농촌진흥청 흙토람 등 학습지에 제시된 GIS 구축 사례들은 직접 링크 타고 들어가면서 확인해보길 바랍니다. SGIS는 브라우저에서 바로바로 해봤으니 쉬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친구들은 학습지보면서 다시 한번 천천히 해보세요. 이번에는 Qgis에서 웹기반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법입니다. 컴퓨터를 켜고, 해당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Qgis에서 실행하고, 가공하고, 우리가 원하는 형태로 시각화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대부분의 활동은 이렇게 진행되긴 하는데, 너무 번거롭습니다. 웹에서 바로바로 필요한 GIS를 구동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궁금한 친구들은 BizGIS에서 제공하는 XrayMap을 사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1. 11. 2.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8투영 지도는 지구를 펼쳐놓았습니다. 지도 배우며 얘기했던 것처럼 당연히 왜곡이 있습니다. 그래서 표현하고자 하는 공간정보를 가장 잘 드러내줄 수 있는 투영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늘은 도법입니다. Qgis에는 여러분들이 수업에서 다룬 어지간한 도법은 대부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j4를 편집하면 여러분이 원하는 상황에 맞게 투영기준점 등을 수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도의 왜곡을 잊지 말고, 원하는 투영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2021. 11. 2. 이전 1 2 3 4 5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