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8투영

by Thisis Geoedu 2021. 11. 2.

지도는 지구를 펼쳐놓았습니다. 지도 배우며 얘기했던 것처럼 당연히 왜곡이 있습니다. 그래서 표현하고자 하는 공간정보를 가장 잘 드러내줄 수 있는 투영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늘은 도법입니다.

 

 

 

Qgis를 실행합니다.

 

 

예제파일을 열어봅니다.

 

 

 

화면 우측 하단에 보면 좌표계를 바꿀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누르면 좌표계 창이 나옵니다.

 

 

 

북극을 중심으로 투영한 정사도법 지도를 그리고 싶다는 충동이 생겼습니다. 변경하고 싶은 투영법을 검색해봅니다.

 

 

 

밑에 North pole orthographic 투영법이 있네요.

 

 

짜잔. 북극 중심의 정사도법 지도가 표현되었습니다.

 

 

북극만 하면 정 없으니까 남극도 해봅시다. 검색하고 선택합니다.

 

 

 

짜잔. 남극 중심 정사도법 지도입니다.

 

 

 

마찬가지로 robinson을 검색하면 로빈슨 도법 지도도 그릴 수 있습니다.

 

 

객체를 이루고 있는 점이 지도의 왼쪽과 오른쪽에 걸쳐있다보니 투영기준점에 따라 SHP파일이 깨질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반도와 태평양을 중심으로 그려진 세계지도 예제 파일인데, 유럽 중심의 메르카토르 도법을 선택해서 깨진 상황입니다. 양쪽에 걸치게 된 객체를 수정하면 해결되므로, 당황하지 않아도 됩니다.

 

 

 

Qgis에는 여러분들이 수업에서 다룬 어지간한 도법은 대부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j4를 편집하면 여러분이 원하는 상황에 맞게 투영기준점 등을 수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도의 왜곡을 잊지 말고, 원하는 투영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