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7지도기초

by Thisis Geoedu 2021. 11. 1.

실습을 해보니 잘 따라오는 친구들도 있지만 복습이 필요한 친구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복습할 때 참고하라고 실습했던 내용을 백업해두겠습니다.

어려운 기능들이 아니니까 따라하다보면 습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오늘은 지도를 그리고 이미지 파일로 빼내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Qgis를 실행합니다.

 

 

 

 

예제 파일을 실행합니다.

 

 

 

 

 

실제 작업을 할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이번에는 국가 레이어를 선택하면 됩니다.

 

 

 

레이어에서 원하는 객체를 선택해야하는 상황이므로 객체 선택 아이콘을 누릅니다.

 

 

 

 

오스트레일리아 객체를 복붙하려고 합니다. 먼저 오스트레일리아를 선택합니다.

 

 

 

 

선택했으니 객체 복사를 합니다. 단축키로 컨트롤 씨도 가능합니다.

 

 

 

 

이번엔 연습하는 거니까 임시 레이어로 붙여넣습니다. 임시 레이어는 껐다 키면 사라지는 레이어입니다.

 

 

 

 

 

레이어 이름이 헷갈릴 수 있으니 오스트레일리아 이름을 붙여줍니다.

 

 

 

 

 

쨔잔. 오스트레일리아 레이어가 생겼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레이어를 편집하려고 합니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눌러줍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쓰는게 단순 채우기입니다. 객체가 색칠되어 있는 형태니까요. 세부 설정을 좀 바꿔봅시다.

 

 

 

포토샵 같은 그래픽 툴과 비슷합니다. 원하는 색깔 누르면 됩니다.

 

 

 

테두리 선의 색깔도 두께도 바꿀 수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지도 툴이라는 점이 그래픽 툴과 다른 부분이 이런 부분에서 드러납니다. 단순히 포인트나 픽셀도 가능하지만, 축척 등을 고려해서 미터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눈에 잘 띄라고 선도 까맣고 두껍게, 색칠도 빨갛게 했습니다. 자극적입니다.

 

 

 

이제 불필요한 지도들은 보이지 않아도 됩니다.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레이어는 모두 체크 해제합니다.

 

 

 

 

화면에 오스트레일리아가 너무 작아서 서운합니다. 화면에 꽉 차게 만들때는 돋보기에 화살표가 달린 아이콘을 눌러 전체보기를 합니다.

 

 

 

 

짜잔. 오스트레일리가 화면 가득 차있습니다. 이 지도는 Qgis 화면에서만 보이는 지도입니다. 확인하려면 Qgis를 설치해야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모든 사람이 다 GIS 툴을 다루려고 지도를 보는 것은 아닙니다. 누구나 흔히 볼 수 있게 이미지 파일로 뽑아내면 좋습니다. 조판 설정으로 갑니다.

 

 

 

 

인쇄 세팅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형태는 저장해놓고 템플릿으로 쓰면 좋습니다. 오늘은 연습이니까 대충 입력합니다.

 

 

 

 

 

왼쪽에 보면 종이 말려있는 것 같은 지도 추가 아이콘을 누릅니다. 지도 기본 레이아웃은 A4로 되어있습니다. 원하는 크기로 넣습니다.

 

 

 

 

 

짜잔. 오스트레일리아가 들어왔습니다. 아까 Qgis 화면에 보이는 형태로 지도가 들어옵니다.

 

 

 

 

여백이 많아 아깝습니다. 지도에 큼지막하게 오스트레일리아가 들어오면 좋겠습니다. 도곽 안에서 지도가 표현되는 범위를 바꾸고 싶을 때에는 종이에 네 방향 화살표가 박힌 것처럼 생긴 아이콘을 클릭하고 드래그하고 휠을 돌리면 됩니다. 섬세하게 축척을 바꾸고 싶을 때에는 항목 속성에서 축척 값을 수정합니다.

 

 

 

맘에 쏙 드는 형태로 지도가 담겼습니다. 이 지도가 얼마나 줄였는지 알 수가 없으니 어느 정도로 줄인 지도인지 축척을 표시해줘야합니다. 축척 아이콘을 누르고 축척막대를 그려줍니다.

 

 

 

축척막대까지 예쁘게 넣었습니다. 이제 이미지 파일로 빼면 누구나 볼 수 있는 지도가 완성됩니다. 이미지로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jpg 등의 이미지 파일에는 해상도가 있습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많은 정보를 담습니다. DPI는 1인치당 화소의 수인데, 클수록 파일 용량이 무지막지하게 커집니다. 보통 프린터기 성능을 생각해볼 때 300dpi 밑으로 해상도가 낮으면 화질구지라 다 깨집니다. 혼낼겁니다. 적당하게 크게 하세요.

 

 

 

 

어때요, 참 쉽죠?

이렇게 여러분들 인생 최초의 오스트레일리아 지도가 완성되었습니다.

 

객체 선택하기, 색칠과 외곽선 조절하기, 지도 크기와 위치 조절하기, 축척막대 추가하기, 이미지로 내보내기 등은 앞으로 이어지는 활동의 기초 중에 기초입니다. 내가 원하는대로 할 수 있게 익혀놓으세요.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