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배울 기능은 중첩입니다. 중첩은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가지고 활용하는 기능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겹치는 부분만 잘라내보는 실습을 하려고 합니다. 중첩은 수학에서 배우는 집합 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등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쉽기 때문입니다.
Qgis를 실행하고 예제 파일을 불러옵니다. 고양시 레이어, 식사동 레이어 말고 토지피복지도의 레이어가 있습니다. 토지피복지도는 식사동보다는 크지만 고양시보다는 작은 면적을 준비했습니다.
토지피복지도 중에 식사동에 해당하는 부분만 뽑아내보려고 합니다.
입력 레이어에 토지피복을 넣습니다. 중첩 레이어는 식사동을 넣습니다.
짜잔. 토지피복지도 중에서 식사동에 해당하는 만큼의 지도가 새로운 레이어로 생성되었습니다.
작업하지 않을 다른 레이어들을 체크 해제하니까 식사동의 토지피복 레이어만 잘 보입니다. 그런데 해당 지도는 원래 한 장의 지도가 아니라 식사동에 해당하는 여섯 장의 지도를 합쳐서 만든 지도이다보니, 가로 세로로 잘려있는 선이 보입니다.
같은 속성정보를 가진 객체끼리 합쳐보려고 합니다. 디졸브를 선택합니다.
식사동 토지피복지도 레이어에서 디졸브를 실행하려고 합니다.
토지피복지도의 속성정보에는 분류가 위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입니다. 세분류로 구분하려고 하는 상황이니, 세분류에 해당하는 명칭을 선택합니다.
짜잔. 지도 이어붙인 자국이 없는 식사동 토지피복지도가 만들어졌습니다.
토지피복이 실제로 어떤 상황인지 가시적으로 보고싶습니다. 속성에 들어가서 분류값 사용을 선택합니다.
분류의 기준이 될 속성정보는 세분류 명칭입니다. 원하는 속성정보를 선택합니다.
분류를 누르면 세분류 속성에 따라 알아서 알록달록 색이 부여됩니다.
짜잔. 식사동 토지피복을 보여주는 지도가 생겼습니다.
식사동 토지피복 레이어 왼쪽의 삼각형을 누르면, 해당 레이어를 펼쳐볼 수 있습니다.
토지피복을 구성하는 세분류를 쭉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공업시설만 빼고 나머지는 체크 해제합니다.
짜잔. 식사동의 공업시설이 나온 지도가 생겼습니다.
이렇게 식사동의 공업시설 지도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활용한 토지피복지도는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받아왔습니다. 여러분들도 필요한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