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1단계구분도

by Thisis Geoedu 2021. 11. 2.

아마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통계지도 표현방법이 바로 단계구분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쉬우니까 금방 할 수 있습니다.

 

Qgis를 실행하고 예제 파일을 열어봅니다.

 

 

 

레이어 속성에서 심볼에 들어가면 아예 단계구분도가 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단계를 구분할지 속성정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인구를 기준으로 단계를 구분해봅시다. 인구를 선택합니다.

 

 

단계를 구분하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각 계급에 속한 도수가 같게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각 계급값의 간격이 같게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수학적으로 예쁘게 알아서 뽑아주는 것도 있습니다.

 

 

등간격으로 선택하고 급간을 4개로 두어 분류해보았습니다. 대략 3억 4천만 정도를 기준으로 국가군을 분류했네요.

 

 

 

짜잔. 세계의 인구를 기준으로 만든 단계구분도입니다. 중국이랑 인도가 10억이 넘는 인구수를 가진 만큼 단연 돋보입니다. 그런데 다른 나라들은 모두 인구가 적다보니 가장 낮은 계급에 속해 여러 단계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다시 레이어 속성에서 단계구분으로 가서, 구분하는 방법을 바꾸어봅니다.

 

 

 

이번에는 계급에 속한 국가가 같게 구분해봅시다. 나라가 200개에서 살짝 모자라니 한 40 몇개씩 구분되겠네요. 대신 계급을 구분하는 값이 제멋대로입니다.

 

이렇게 구분하니 세계 국가들이 인구 기준으로 구분이 되었습니다. 근데 영토가 큰 나라들이 대부분 인구도 많아서 지도 전체적으로 색이 너무 많이 칠해져있습니다.

 

 

 

단계구분도는 흔하게 사용하는 통계지도이지만, 어떻게 구분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표현이 가능합니다. 같은 속성정도를 다르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은, 지도를 제작하는 사람의 의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나만의 주제도를 제작하면서 최종적으로 단계구분도를 작성할 친구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간분석을 실시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최종적으로 어떻게 보이는지도 꽤나 중요합니다. 오늘 수업을 계기로 이러한 부분에 대해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