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2버퍼

by Thisis Geoedu 2021. 11. 2.

GIS 기능 중에 가장 단순하지만 중요한 기능을 꼽으라면 버퍼와 중첩을 들 것 같습니다. 그만큼 직관적으로 이해되고, 쓸모가 많은 기능입니다. 오늘은 버퍼를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는 객체의 이름을 붙이는 라벨도 함께 다루겠습니다.

 

 

Qgis를 실행하고, 예제 파일을 열어봅시다.

 

우리나라에 새 잠수함으로 도산안창호함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한시간에 20노트, 그러니까 시속 37킬로미터 정도 이동할 수 있다고 해요. 그럼 12시간 뒤에는 어디까지 작전을 펼칠 수 있을까요? 기지로부터 444km 떨어진 곳까지 갈 수 있겠죠? 그럼 444km 떨어진 곳은 어디까지일까요?

 

벡터에서 버퍼 기능을 실행합니다.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플러그인에서 processing이 활성화되어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버퍼 창이 열립니다. 버퍼를 하려는 레이어는 남한이므로, 입력레이어에서 선택해줍니다. 버퍼를 하려는 범위가 444km인데, 필요에 따라 단위를 바꾸어줄 수 있습니다.

 

 

 

 

버퍼를 실행했습니다. 섬이 많다보니 버퍼가 여러 개가 생겼나봅니다. 이렇게 되면 보기가 쉽지 않으니 레이어 안에 있는 객체를 합쳐야 합니다.

 

 

 

객체를 합쳐주는 디졸브를 선택해줍니다.

 

 

같은 속성을 가진 객체를 합쳐주는 디졸브입니다. 버퍼로 얻은 레이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12시간 내에 작전 가능한 444km 범위가 나왔습니다. 미사일의 사정거리라면 이렇게 덮어도 괜찮지만, 잠수함인 점을 고려하면 바다로 보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국가레이어 밑으로 작전범위 레이어를 보내줍니다.

 

 

 

짜잔. 잠수함의 작전가능한 범위가 표현된 지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도산안창호함에서는 미사일을 발사할 수도 있습니다.

새로 개발한 현무 IV-4 미사일은 사거리가 500km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존 잠수함 범위에서 500km 버퍼를 실행합니다.

 

 

그럼 잠수함에서 발사한 미사일의 사정거리 안쪽에 들어오는 범위가 레이어로 표현됩니다.

 

 

레이어의 이름을 지정해줍니다. 레이어를 누르고 오른쪽 클릭하여 레이어 이름바꾸기를 선택합니다. 그냥 F2를 눌러도 됩니다.

 

 

 

레이어의 이름을 미사일 이름에 맞게 현무4로 바꾸었습니다.

 

 

 

레이어 색깔인 갈색은 별로 안무서우니까 무서운 색깔로 바꿔봅시다. 속성에 들어갑니다.

 

 

범위가 보이게 불투명도는 50%로 낮추고, 색상은 빨간 색으로 바꾸었습니다.

 

 

짜잔. 잠수함의 작전 범위와 미사일 공격 범위가 나온 무시무시한 지도가 완성되었습니다.

 

 

점으로 표시된 레이어는 사실 주요 도시들입니다. 그런데 어디가 어딘지 알기가 어려워 이름을 붙이려고 합니다. 속성에 들어갑니다.

 

 

이름표를 붙여주려면 라벨 메뉴에 들어가면 됩니다. 라벨이 없었네요.

 

 

그냥 단순하게 이름표만 붙일 예정이니 단일라벨을 눌러줍니다.

 

 

이름표는 한글로 붙어야 알아먹을 수 있습니다. 한글 지명이 있는 속성정보를 선택해줍니다.

 

 

짜잔. 주요 도시의 이름도 표시되었습니다.

 

 

버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범위를 추출할 때에 아주 편리한 기능입니다. 역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라 역세권을 찾거나, 도로에서 소음이 심한 범위를 찾을 때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 다룰 중첩과 함께 사용하면 훨씬 더 강력해집니다. 지금 잠수함 레이어도 사실 바다인 부분만 잘라내야합니다. 도시 이름이 너무 많아서 정신사나운데, 특정 국가에 있는 도시나 미사일 범위에 있는 도시만 나타낼 수 있게 잘라낼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지도로 표현하고 나면 직관적으로 이해가 됩니다. 잠수함에 대한 기사는 있지만, 지도가 없는 경우에는 와닿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지도를 함께 제시해 시각화하면 훨씬 명료하게 와닿습니다. 그래서 지도는 힘이 셉니다. 기사를 읽으며 이런 경우에는 지도가 들어가면 더 좋을텐데 싶은 기사가 있다면 말해주세요.

 

오늘은 버퍼를 실행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