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통계지도 표현방법이 바로 단계구분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쉬우니까 금방 할 수 있습니다.
단계구분도는 흔하게 사용하는 통계지도이지만, 어떻게 구분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표현이 가능합니다. 같은 속성정도를 다르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은, 지도를 제작하는 사람의 의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나만의 주제도를 제작하면서 최종적으로 단계구분도를 작성할 친구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간분석을 실시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최종적으로 어떻게 보이는지도 꽤나 중요합니다. 오늘 수업을 계기로 이러한 부분에 대해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수업자료 > 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3중첩 (2) | 2021.11.03 |
---|---|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2버퍼 (2) | 2021.11.02 |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0좌표 (0) | 2021.11.02 |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9웹기반 (0) | 2021.11.02 |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8투영 (1)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