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직뿌직120

우주에서 본 한반도 지구관측위성과 원격탐사의 매력을 학생들에게 기회 닿는대로 소개해주고 싶다. 아마도 김현옥 박사님께서 쉽고 재미있게 써주신 책의 영향이 강했을 것이다. 하지만 돌이켜보니 대학생 시절 환경지리 수업이 그 밑바닥에 깔려 있었다. 강의에서 언급한 교재가 많았는데, 그 중에서 '북한의 환경변화와 자연재해'가 있었기 때문이다. 방조제가 유실되어 발생한 피해를 인공위성 영상으로 파악한 부분이 아직도 기억난다.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원격탐사로 북한 맛보기의 느낌이 난다. 북한의 도시화, 광산의 개발, 백두산의 분화, 산림의 녹화, 미세먼지와 하천, 갯벌과 간척사업 등 다양한 주제를 넘나들며 흥미를 유발하는 점이 정말 좋다. 특히 다락밭 개간으로 인한 산림 파괴가 고난의 행군 시기 일시적인 현상일 뿐 현재는 조림사업으로.. 2024. 1. 27.
지리학자의 공간 읽기 어쩌다 주인 없는 책이 교무실에 들어왔는지 그 과정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지리 책이므로 지리 교사의 것이라는 합리적인 추론의 결과로 내 자리에 놓이게 되었다. 선물 받은 심정으로 펼쳤고, 편안한 마음으로 덮을 수 있었다. 지리학자의 공간 읽기는 쉽게 풀어낸 경관론이다. 문화지리의 방법론과 사회지리의 비판의식이 깔려있긴 하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대표적이고 탐구할 가치가 있는 경관을 사례로 제시하고, 그 경관을 텍스트처럼 읽어준다는 점에서 경관 해설서로 느껴진다. 속성모형보다는 원형(전형)모형에 가까운데, 재미있는 소재로 동기를 유발하고 내용지식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글꼭지 하나하나가 수업 차시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학문적인 개념과 이론적 근거를 자세히 제시하면 읽는 입장에서 어렵다고 느껴지는데, 학문적인.. 2024. 1. 25.
날씨의 세계 인공위성 영상에는 해상도라는 개념이 있다. 공간해상도, 시간해상도, 분광해상도, 방사해상도 등으로 구분한다. 지리교육에서는 공간적 규모를 뜻하는 말로 스케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따져보면 공간해상도와 닿아있는 개념이다. 일기예보의 공간해상도는 점차 정밀해지고 있어, 읍면동 단위로 서비스된다. 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500곳 넘게 있고, 100곳이 넘는 곳에서 기상청 직원들이 직접 측정한다. 1904년 부산, 목포, 인천, 원산, 용암포 다섯 군데였던 점을 고려하면 정말 엄청난 발전이다. 인공위성으로 측정도 하고, 공간적 보간법으로 추정도 하지만, 우리의 인구밀도를 고려하면 여전히 아쉬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바로 미기후 때문이다. 소나기를 '소 등 나누기'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는데, 미기후의 극.. 2024.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