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223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5기후변화시나리오 기후는 변수도 많고 복잡합니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차도 있습니다. 결과가 다시 원인에 영향을 주는 피드백도 많습니다. 게다가 전 지구적으로 측정해야하고, 심지어 장기간 축적해야합니다. 전 세계의 협력이 기후 연구에서 필요한 이유입니다. 기후 모델이 점차 정교해지고는 있지만, 완벽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기온이 오르면 수증기가 늘어나고 온실효과가 늘어나 양성피드백도 발생하지만, 동시에 기온이 오르면 증발량도 늘어나고 구름이 늘어나 알베도가 증가하여 음성피드백도 발생합니다. 얼음-알베도 피드백처럼 지표피복이 다시 대기환경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해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영향을 주면서 해양의 산성도를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그야말로 지구 시스템입니다. 그래.. 2022. 4. 1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4고기후 기후는 장기적인 대기의 상태입니다. 장기적이라는 말은 곧 축적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빅데이터의 시대를 맞이하다보니 데이터의 분석에 관심이 많은데, 사실 그보다 먼저 정확한 측정과 기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제대로 된 데이터가 아니라면 분석 결과도 엉망일테니까요. 그런 측면에서 기후는 데이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와이에서 측정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전 세계의 기후변화를 설명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떠올려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의 기후를 이해하고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려면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문제는 지구를 여러개 놓고 실험을 해볼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역사를 배우는 것처럼, 지구에서 과거의 기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 2022. 4. 1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3기후변화양상 오늘은 기후변화의 지역별 양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현상이지만, 그 영향은 지역별로 서로 다릅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열대, 건조, 온대, 냉대, 한대 등 기후는 띠처럼 분포하고 있는데, 그러한 분포 양상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실제 기후변화로 인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후변화 자체를 뭉뚱그려 감정에 호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특성을 고려해서 환경문제를 살펴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전체 지구를 다룰 수는 없으니 사례 지역으로 몇 개만 선정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북극입니다. 북극은 바다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그 얼음이 계절에 따라 얼고 녹고를 반복하는데, 점점 더 .. 2022. 4.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