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223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8열대림파괴 오늘은 열대림 파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열대림 파괴를 다루려면 먼저 열대를 이해해야합니다. 열대 기후는 더운 기후입니다. 그래서 적도 주변에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태양복사에너지가 워낙 많이 들어오고 강수량도 많으니 빽빽한 숲이 생겨납니다. 이러한 지역은 키 큰 나무부터 풀까지 식생들이 다양한 층을 이루고 있습니다. 수많은 잎들이 광합성을 위해 경쟁적으로 성장하면서 손톱만큼의 햇볕도 토양까지 도달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광합성을 통해 지구 대기의 탄소 순환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기도 합니다. 식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도 서식하고 있어 생물다양성도 엄청나게 높은 지역입니다. 동남아시아의 열대림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랑우탄이나 수마트라코뿔소 등이 대표적입.. 2022. 5. 3.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7사막화 오늘은 사막화현상입니다. 사막화는 사막이 아닌 곳이 사막이 되는 현상이에요. 그럼 사막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합니다. 건조기후는 지구상에 매우 넓게 나타나는 기후인데,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많습니다. 연 강수량 250mm이하는 사막, 250mm~500mm는 스텝입니다. 사막은 대부분 남북회귀선 일대에 대규모로 발달하는데, 유라시아대륙 내부처럼 중위도에도 큰 사막이 발달해 있습니다. 스텝기후는 주로 사막 주변에 위치해 있고 풀로 덮여 있는 초원이 넓게 발달합니다. 사막화라고 하면 주로 사헬지대나 아랄해의 축소가 많이 제시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도 지금까지 여러 번 접해봤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굳이 동북아시아의 중위도 사막을 가져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몽골만 하려고 합니다. 몽골은 정치적으로는 남북으로.. 2022. 4. 21.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6물자원 물은 생명입니다. 지구 표면의 대부분은 물이 덮고 있습니다. 지정학 수업때도 잠깐 언급했던 것처럼, 우리가 육지에 살고 있어서 자꾸 해양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기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언급했던 탄소순환에서도 당연히 해양이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래서 물을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구엔 물이 많습니다.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이유도 이 물 때문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매우 많습니다. 지구는 물로 덮여있지만, 사실 물의 대부분은 바닷물이고, 그 바닷물을 제외한 물 대부분은 얼어있는 물이고, 얼어있는 물을 제외한 물 대부분은 땅 속에 있는 지하수입니다. 결국 우리가 흔히 물이라고 인지하는 호수나 하천의 물은 지구 전체 물에 비하면 극히 일부분인 셈입니다. 그래서 물을 이.. 2022. 4. 19. 이전 1 ··· 5 6 7 8 9 10 11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