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223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1인권 드디어 단원이 넘어갑니다. 이번 단원은 인권입니다. 인권은 뭐 여러분들이 이 학교 다니면서 하도 많이 들어봤을 개념이라서 얼른 후닥닥 하겠습니다. 처음 들어보는 것도 아닐 것 같구요. 인권은 공짜로 그냥 얻어진 것이 아닙니다. 어느 날 갑자기 짠 하고 주어진 것도 아니구요. 여러분들에게 당장 주어지는 투표권조차도 그렇잖아요. 그래서 인권을 소중하게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인권의 의미가 확장되는 흐름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전근대사회에서는 사실 인권이 모두에게 해당하는 권리가 아니었습니다. 신분질서가 엄격했기에, 국왕이나 귀족의 권한이 막강했습니다. 지역과 시기를 막론하고 노예가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인권이라는 것이 얼마나 의미 없는지 간단하게 이해가 됩니다. 영국에서는 귀족들이 국왕의 권력 행사에 저항하.. 2021. 4. 12.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0폭력평화 지난 시간까지 지정학에 대해서 조금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아무래도 지정학은 여러분들에게 생소할 것 같아서 해설하는 과정이 좀 있었고, 그 뒤에 있는 내용은 여러분들이 이미 들어본 익숙한 내용들이 많아 금방 끝날 것 같습니다. 폭력, 평화, 국제기구 세 개념을 다루겠습니다.먼저 폭력입니다. 이어지는 내용은 평화학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요한 갈퉁의 방식을 따를 예정입니다. 폭력이라고 다 같은 폭력이 아닙니다. 사실 신체에 피해를 입히는 등 명백하게 폭력의 주체와 객체가 드러나는 경우는 직접적 폭력이라고 합니다. 대체로 물리적으로 신체나 재산상의 피해를 입힌 것이 확인 가능해서, 누구나 폭력으로 쉽게 인지합니다. 특이한 것은 인지하지 못하는 폭력에도 주목한다는 점입니다. 착취나 억압이 발생하게 되는 사회 구조적.. 2021. 4. 6.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9비판지정학 지난 시간까지 배운 내용들을 생각해보겠습니다. 국가의 지리적 상황에 중심을 두고 흥망성쇠를 살펴보았습니다. 그걸 다 고전지정학이라고 합니다. 고전지정학이 기반이 되어 대량 학살이나 침략이라는 끔찍한 결과를 불러왔습니다. 이해가 어려우면 하우스호퍼와 나치를 떠올리면 됩니다. 그래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정학은 도덕적으로 타락한 학문으로 이해가 되면서, 침체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정학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미국에서도 대외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지정학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정학 이론은 계승되어 발전하고 있었습니다. 소련의 경우에 매킨더의 주장은 제국주의자들의 견해일 뿐이라며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했지만, 소련이 해체된 이후에는 유라시아 제국에 주목하.. 2021.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