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223

세계문제와미래사회_20물자원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기후를 살펴봤습니다. 이제는 물입니다. 사실 탄소순환 할 때에도 언급했지만, 지구 표면의 대부분은 해양, 즉 물로 덮여있습니다. 지구에 생명체들이 살 수 있는 근본적인 배경 중 하나가 바로 물의 존재인 만큼, 물의 의미는 결코 작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물이 많긴 하지만 그렇다고 쓸 물도 많다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 물은 사실상 거의가 다 바닷물입니다. 바닷물은 우리가 당장 바로 사용하기는 좀 어렵습니다. 이해가 어려운 친구들은 여름철에 바다에 놀러가면 한 모금만 마셔보면 이해가 쏙쏙 될 것입니다. 그럼 해수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쓸 수 있는가 하면 그 것도 아닙니다. 나머지 물의 대부분은 얼음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그래서 우리 인류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하천이나 호수의 물은 .. 2021. 4. 30.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9기후전망 기후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결국 기후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번 내용까지 다루면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은 마무리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생각해보면 기후가 꽤나 복잡하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일단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워낙에 많습니다. 게다가 원인이 변했다고 해서 바로 결과로 드러나지 않고, 그 과정에서 시차가 있습니다. 게다가 피드백이 워낙 많습니다. 양성피드백과 음성피드백이 다 있다보니 단순하게 원인과 결과로 나누기도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전 지구적인 과정입니다. 기후데이터는 지구 전체적으로 측정해야하고, 심지어 장기간 축적되어야 기후 데이터로 의미가 있습니다. 기후를 이해하려면 결국 지구시스템 전체를 이해해야합니다. 그래서 지구시스템에 대한 모.. 2021. 4. 30.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8고기후 지난 시간부터 계속 기후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기후는 대기의 장기적인 상태입니다. 장기적이라는 말은 당연히 축적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측정된 값을 기록해야하고, 그러한 기록이 쌓이다보면 데이터가 됩니다. 이러한 데이터가 축적되면 분석을 통해 경향성을 파악하고, 그렇게 도출한 원리로 예측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티코 브라헤가 관측한 기록이 쌓여 케플러가 법칙으로 정리한 것처럼, 데이터의 축적은 분석을 위한 기초가 됩니다. 그래서 정확한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 많이 중요합니다. 빅데이터의 시대에도 사실 정확하고 방데한 데이터가 축적되어있어야 그 이후 다양하고 새로운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은 여전한 것 같습니다. 우리는 사실 이런 부분에서는 자신이 있습니다. 조선 초기부터 측우기로 강우량을 과학적으로 .. 2021.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