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223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5제1차세계대전 지정학 이론들을 살펴보았으니 이제 실제 지정학적인 충돌의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제국주의의 팽창 과정과 제1차 세계대전입니다. 사실 세계사에 해당하는 부분도 많고, 이미 여러분들이 국제정치에서 배운 내용들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설명은 과감하게 생략하고 지정학 위주로 짚어주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두려워하지 말고 질문해주세요~ 제국주의 열강이 세계로 팽창하던 그 시대. 역시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바로 대영제국입니다. 대영제국에서 제작한 지도를 보면, 영국이 바라보는 세상을 읽을 수 있습니다. 지도 중앙에 당당하게 자리잡은 브리타니아와 그 양쪽 구석에 자리잡은 인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모습이 당시 제국주의자들의 인식을 보여줍니다. 영국을 의인화할 때.. 2021. 3. 22.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4영토와경계 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 조금 남아있는 이론 하나 소개하고 그 다음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겠습니다.마한은 해양력, 맥킨더는 대륙세력을 중심으로 보는 이론이었습니다. 사실 다 고전지정학이라서 국가의 권력과 통치력과 군사력과 패권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대전 이후로 상황이 조금 바뀌었습니다.셰버스키는 러시아에서 태어났지만 미국에서 활동한 군인이자 사업가입니다. 당시엔 비행기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가면서, 정밀한 폭격이 가지고 있는 전략적인 가치도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셰버스키는 항공력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먼 거리를 날아가는 폭격기나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폭탄 등 항공자산을 가지고 있으면 상대국이 함부로 행동할 수 없게 됩니다. 특히 셰버스키가 주목했던 미사일, 우주전, 전자전 등의 중.. 2021. 3. 1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3대륙세력 라첼이 지표 공간과 인간과의 관계에 주목해 인문지리학을 만들었고, 셸렌은 지리적 조건과 국가의 흥망성쇠에 관심을 가지고 지정학을 개념화했습니다. 그리고 마한은 해양력에 주목해서 국가의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해양이 아니라 대륙에 주목한 학자가 등장합니다. 본격적인 정치지리학은 바로 이 사람에서 출발합니다. 할포드 맥킨더. 지정학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하는 이 학자는 당시 독일에서 이제 막 태동기에 있던 이 학문이 가진 중요성을 깨닫고 영국에도 도입합니다. 특히 정치지리학의 기본이 되는 지리학에 많이 주목하였는데,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이어줄 수 있는 지리학의 특성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학문의 거대한 두 계열을 이어줄 수 있는 다리처럼 기능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명문대학교로 꼽히는 런던정경.. 2021.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