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2)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62차대전과냉전

by Thisis Geoedu 2022. 3. 21.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동유럽에는 체코슬로바키아 등 여러 나라가 독립했습니다. 민족자결주의란 각 민족이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민족국가에 있는 민족들을 분리독립시키겠다는 뜻인데, 패전국에만 적용되었다는 점은 함정입니다. 그래서 독일의 국경도 변화합니다.

이 시기에 그려진 지도를 보면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폴란드가 바다로 빠져나갈 수 있는 단치히 일대의 회랑이 폴란드 영토로 되어 있고, 알자스로렌지방은 프랑스 영토로 되어 있습니다. 독일 영토 내에도 폴란드인이나 유대인 등 다양한 민족이 살고 있지만, 의도적으로 게르만 민족이 살고 있는 땅을 표시한 셈입니다.

이러한 지도는 당시의 독일 국경이 게르만 민족을 제대로 포함하지 못하는 국경이라는 생각을 도와줍니다. 나치는 독일 민족의 우수성을 주장하면서, 전쟁에서 패했기 때문에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선동했습니다. 그리고 전쟁에서 패배하게 만든 내부의 적으로 유대인과 공산주의자 등을 꼽으며 민족을 정화해야한다는 극단적인 주장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사상이 결국 홀로코스트로 이어지게 됩니다.

주데텐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를 시작으로 히틀러는 영토를 늘려나갑니다. 독일이 유럽 일대를 장악하는 데 성공한 배경엔 독소불가침조약이 있습니다. 동유럽에 있는 국가들과는 별개로 강대국인 독일과 소련 사이에 임의로 합의해 분할했기 때문입니다. 히틀러와 스탈린의 견해가 상극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정말 신기할 따름입니다. 하지만 전쟁에서는 유전지대의 중요성이 컸기 때문에 소련을 공격하였고, 결국 패하면서 전쟁에서 패배했습니다.

군국주의로 나아가던 일본 제국도 타이완과 한반도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괴뢰국인 만주국을 만들었으며, 중일전쟁으로 중국 해안의 주요 도시를 점령하며 국제연맹도 탈퇴했습니다. 미국을 선제공격하고 동남아시아까지 전선을 확대하며 태평양전쟁을 일으켰으며, 결국 패배했습니다.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고립주의적인 성향이 일부 남아있었습니다. 국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은 라디오 연설을 실시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은 전 세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고, 국제질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간섭주의 노선으로 전환하게 됩니다.

국제연합은 이러한 제2차 세계대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UN에는 적국을 명시하는 조항도 있었구요. 전쟁을 승리로 이끈 연합국들이 북반구에 많기에 UN의 상징도 북극 중심의 지도로 만들어졌습니다. 처음 제작 당시에는 미국의 뉴욕을 중심으로 그려졌지만, 미국과 소련이 균형있게 보일 수 있도록 좌우에 배치된 현재의 형태로 수정되었습니다.

세계 질서는 미국과 소련의 대립구도로 급격하게 재편됩니다. 미국은 소련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겠다는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하였고,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나토를 구성하였으며, 서유럽의 재건을 지원하기 위해 마셜플랜을 수립하였습니다. 소련도 동유럽 국가들과 바르샤바조약기구를 구성하는 등 이에 대응해 나갔습니다. 그래서 이 시기를 대표하는 말로 철의 장막이라는 말이 사용됩니다. 스웨덴, 오스트리아, 핀란드 등의 중립국을 제외하면 두 진영으로 갈라졌기 때문입니다.

공산주의의 확장은 동유럽에서만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몽골이 독립하며 공산화되었고, 광복 이후 북한도 공산화되었고 중국도 공산화됩니다. 유라시아 대륙의 소련이 공산화되자 인근 국가들이 공산화되었고, 미국은 이러한 대륙세력의 팽창을 막는 지정적 전략을 선택합니다. 그 중에 거점 중 하나가 일본인데, 맥아더는 미디어와 덴노를 이용해 일본을 미국의 파트너로 변화시키는데 성공합니다.

이처럼 냉전 시기에는 반공주의가 중요해집니다. 맥카시즘은 공포를 기반으로 확산되었고, 한국 정치에서도 오랜 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반공주의 전략으로 도미노 이론을 제시하며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개입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냉전 시기의 대립은 대리전의 양상으로 전개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냉전에도 데탕트라고 부르는 변화가 생겨납니다. 제국주의 열강도 공산주의 패권국도 싫은 신생 독립국들은 양자택일식 논리를 거부하고 제3세계 운동을 벌입니다. 미국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소련을 견제합니다. 프라하의 봄처럼 민주화 요구도 있었습니다. 강경하게 진압하던 소련도 영원할 수 없었고, 발트의 길 이후로 공화국들이 독립해나가며 한순간에 해체됩니다.

UN 안보리의 상임이사국 확대 문제, 석유의 전략적 중요성 등 다룬 내용에서도 심화시켜 고민해볼 것들이 있습니다.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