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6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5공간분석기능 이번 시간에는 공간분석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업으로 들으면 대단한 개념같다는 기분이 들지만, 사실 GIS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버튼 하나로 다 구현되어 간단합니다. 그다지 어렵지 않으니 슉슉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GIS에서도 기본적으로 레이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깔고 가겠습니다. 레이어 개념은 다소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1학년 때 사진을 촬영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편집하는 툴로 어도비의 포토샵을 배웠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은 익숙할 것 같아요. 투명한 유리 위에 지도가 놓여져 있고, 그 지도 여러 장을 차곡차곡 겹쳐서 원하는 결과를 얻어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러한 레이어를 편집하는 기본적인 기능들이 있습니다. 교집합처럼 원래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와 겹치는 부분만 따내는 경우도 있고, .. 2021. 10. 15.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4공간적의사결정 우리는 살면서 많은 결정을 내립니다. C가 B와 D 사이에 있다고 그러잖아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선택의 연속입니다.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이 많지만, 그 중 중요한 부분이 바로 공간적 의사결정입니다. 자본주의 사회니까 소비가 중요한데, 보통의 사람들이 가장 비싸게 사게 되는 것이 집과 차입니다. 집에 대한 고민은 어디서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것입니다. 차는 공간 상에서 이동하는 방법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공간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정보가 있어야하고, 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타당한 분석을 실시해야합니다. 그래야 잘못된 결정을 할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적 의사결정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원칙.. 2021. 10. 14.
과학콘서트 중학생 때 읽었어야 할 책이었다. 그 사이 교사가 되었고, 아이들이 읽는 모습을 본 적 있다. 이제야 잡게 되었는데, 읽는 내내 흥미로웠다. 과학콘서트는 인간 냄새가 나는 과학책이다. 고등학교에서 물리학을 제대로 배운 것은 아니지만, 세월의 풍화에도 유난히 열정적이던 물리1 방과후학교 장면이 아스라히 남아있다. 뉴턴역학으로 무엇이든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채우다가 빛의 이중성으로 결국 아무것도 모른다며 마무리하는 이야기의 흐름이 멋졌다. 읽다보니 이름도 시기도 모르는 그 물리 수업이 다시 떠올랐다. 자연과학이 너무 인간에게서 멀어지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졌다고 밝히는 것 답게, 구석구석 일상과 닿아있는 많은 주제를 건드려주는 모습이 매우 교육적이다. 자연과학과 인문학과 사회과학과 공학의 접점으로 결국 .. 2021.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