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6 수학의 쓸모 자극적인 제목에 끌렸다. 굳이 따져보면 확률과 통계의 적용이라고 느껴진다. 조금 딱딱하긴 했지만 재미있는 소재들이 다루어져있다. 다만 수학비타민의 자극에는 못미친다. 수학의 쓸모는 데이터 사이언스에 대해 다룬다. 아이들에게 단계구분도를 가르치며 지도 제작자의 의도와 역량을 힘주어 설명했다. 인공지능도 데이터도 쌓여가는 세상이 무시무시하다. 하지만 결국 그걸 작성하고 수정하고 활용하는 것도 인간이라는 점이 와닿는다. 2021. 11. 3.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2버퍼 GIS 기능 중에 가장 단순하지만 중요한 기능을 꼽으라면 버퍼와 중첩을 들 것 같습니다. 그만큼 직관적으로 이해되고, 쓸모가 많은 기능입니다. 오늘은 버퍼를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는 객체의 이름을 붙이는 라벨도 함께 다루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새 잠수함으로 도산안창호함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한시간에 20노트, 그러니까 시속 37킬로미터 정도 이동할 수 있다고 해요. 그럼 12시간 뒤에는 어디까지 작전을 펼칠 수 있을까요? 기지로부터 444km 떨어진 곳까지 갈 수 있겠죠? 그럼 444km 떨어진 곳은 어디까지일까요? 그런데 도산안창호함에서는 미사일을 발사할 수도 있습니다. 새로 개발한 현무 IV-4 미사일은 사거리가 500km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버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범위를 추출.. 2021. 11. 2. 공간정보와공간분석_21단계구분도 아마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통계지도 표현방법이 바로 단계구분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쉬우니까 금방 할 수 있습니다. 단계구분도는 흔하게 사용하는 통계지도이지만, 어떻게 구분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표현이 가능합니다. 같은 속성정도를 다르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은, 지도를 제작하는 사람의 의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나만의 주제도를 제작하면서 최종적으로 단계구분도를 작성할 친구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간분석을 실시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최종적으로 어떻게 보이는지도 꽤나 중요합니다. 오늘 수업을 계기로 이러한 부분에 대해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2021. 11. 2.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