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6 왜 학생들은 학교를 좋아하지 않을까 원래도 책을 그리 많이 읽지는 않지만, 교육에 대한 책은 거북함이 있다. 그래도 직업이 직업이니만큼 아예 안 읽을 수는 없어서 종종 찾는다. 그래도 대체로 더 나은 교육을 지향한다는 주장에 대해 방향이 다른 느낌인 경우가 많다.왜 학생들은 학교를 좋아하지 않을까는 인지과학 측면에서 학교교육을 바라본 이야기이다. 교육계에 있는 다양한 담론에 대해 어렵지 않게 다루어준다. 특히 학생들을 가르치는 기술의 발전을 위해 수업을 녹화하고 공개하고 논의하라는 섬세한 지시가 와닿았다. 수업친구를 만들라는 것인데, 다들 필요성은 알지만 그리 쉽지 않다는게 문제다. 2024. 7. 2. 여자를 위한 도시는 없다 대학생때 문화지리학이 정말 재미있었다. 역사지리학도 재미있었지만 신문화지리학도 재미있었다. 문화정치에서 유난히 사회지리학의 맥락이 자주 등장하는데, 정작 사회지리학 수업은 없었다. 그래서 질리안 로즈와 질 발렌타인은 이름만 들어 보았고, 나중에 사회지리학 개론서를 접하며 지리교육에 어떤 의미가 있을지 고민해보았다.여자를 위한 도시는 없다는 페미니스트 도시지리학을 소개하는 교양서다. 1세대, 2세대, 3세대 페미니즘을 어렴풋하게 구분할 뿐 페미니즘 지리학에 대해 정확하고 자세하게 접한 적이 없었고, 집에 들어가서 전화하라는 인사를 한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신선했다. 달빛투쟁이라고 접했던 Take Back the Night 운동이 등장하고 전개된 맥락을 풀어주니 재미있었다.공중화장실에 대한 부분은 특히 인상.. 2024. 6. 30. 자원 쟁탈의 세계사 지식의 수명이 짧다. 세계 문제와 미래 사회 수업을 담당한지 오래되다 보니 처음 만들었던 자료는 낡아졌다. 그래서 땜질하듯 내용을 현실에 맞게 갈아끼우는 작업을 조금씩 진행해왔다.자원 쟁탈의 세계사는 쉽게 풀어쓰는 에너지 자원 단원이다. 향신료 무역을 다룬 앞부분도 내용은 좋지만, 무엇보다도 뒷부분이 훨씬 와닿는다. 특히 어렵지 않게 설명하는 능력이 좋다.일본 책 특유의 아기자기한 일러스트도 좋고, 글씨가 큼직큼직하고 간격도 넓어 좋다. 참고문헌도 예쁘게 잘 정리된 점도 좋다. 수업에서 학생들과 쓰기 딱 좋은 책인데, 우리도 이런 형태의 책이 많아지면 더 좋겠다. 2024. 6. 12. 이전 1 2 3 4 5 6 7 8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