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6 이희수의 이슬람 지리 수업에서는 아무래도 이슬람이 많이 언급된다. 일단 지리적 범위부터 난감하다. 서남아시아가 핵심지역이기는 한데, 북부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도 해당한다. 동아시아도 위구르는 중앙아시아와 유사하고, 동남아시아도 도서지역은 이슬람 문화권이다. 그래서 이슬람과 아랍과 건조기후와 중동과 산유국을 구분하지 못하는 학생이 거의 대부분이다. 학습의 열의가 있는 학생도 편향된 정보로 인한 편견와 오개념이 넘쳐난다. 이희수의 이슬람은 그야말로 제대로 된 교양서이다. 어떤 부분이 문제점이고, 어떤 부분이 특성인지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짚는다.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이야기가 모두 포함되어있어 정말 개운하다. 좋은 책이라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엄두를 못내다 읽었는데, 왜 이제서야 읽게 되었는지 아쉬울 정도다. 그 동안 파편화되었.. 2024. 7. 27. 인류 진화의 일곱 걸음 지리학에서 기후학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 기후의 장기적인 변화를 다루기 위해서는 고기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 생활에 기후가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가르치는 것인데, 인류를 조금 더 거시적인 시야에서 바라보는 빅히스토리 관점에서 더욱 가치가 있다. 이른바 역사는 문자 발명 이후의 짧은 시간을 다루는데, 우리 인류가 어디서 어떻게 살아왔는지는 상대적으로 다루기가 어렵다.인류 진화의 일곱 걸음은 기존 연구 성과를 아이들도 쉽게 이해하도록 간단하게 풀어준다. 호미닌과 호모 등 분류학에 따른 용어가 생소해 장벽이 되는데, 자연스럽게 잘 넘어간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나 데니소바인 등 정리도 깔끔해서 이해가 쉽다. 게다가 지도와 그림이 풍부하게 잘 활용되어 이해를 돕는다.그야.. 2024. 7. 8. 또 하나의 생활문화지도 땅이름 사람에도 이름이 있듯, 땅에도 이름이 있다. 지명은 그렇게 부르고자 하는 사람 집단의 충돌이 일어나는 정치적 현상이기도 하다. 대체로 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의 특성과 변화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매력이 있다.또 하나의 생활문화지도 땅이름은 우리나라의 지명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해설하였다. 사전처럼 딱딱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긴 한데, 그래도 나름 이야기를 넣어 쉽게 풀어준다. 들, 바위, 내, 산 등 자연지명이 어떻게 유래하여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정리하고, 현대에 새롭게 부여된 지명의 사례도 제시한다. 지명위원회가 왜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보면 좋을 것 같다. 지명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생기는 장벽이 두 개 정도 있는 듯 하다. 하나는 중세 국어와 현재의 국어가 다르다는 점.. 2024. 7. 6. 이전 1 2 3 4 5 6 7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