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6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6물자원 물은 생명입니다. 지구 표면의 대부분은 물이 덮고 있습니다. 지정학 수업때도 잠깐 언급했던 것처럼, 우리가 육지에 살고 있어서 자꾸 해양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기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언급했던 탄소순환에서도 당연히 해양이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래서 물을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구엔 물이 많습니다.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이유도 이 물 때문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매우 많습니다. 지구는 물로 덮여있지만, 사실 물의 대부분은 바닷물이고, 그 바닷물을 제외한 물 대부분은 얼어있는 물이고, 얼어있는 물을 제외한 물 대부분은 땅 속에 있는 지하수입니다. 결국 우리가 흔히 물이라고 인지하는 호수나 하천의 물은 지구 전체 물에 비하면 극히 일부분인 셈입니다. 그래서 물을 이.. 2022. 4. 1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5기후변화시나리오 기후는 변수도 많고 복잡합니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시차도 있습니다. 결과가 다시 원인에 영향을 주는 피드백도 많습니다. 게다가 전 지구적으로 측정해야하고, 심지어 장기간 축적해야합니다. 전 세계의 협력이 기후 연구에서 필요한 이유입니다. 기후 모델이 점차 정교해지고는 있지만, 완벽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기온이 오르면 수증기가 늘어나고 온실효과가 늘어나 양성피드백도 발생하지만, 동시에 기온이 오르면 증발량도 늘어나고 구름이 늘어나 알베도가 증가하여 음성피드백도 발생합니다. 얼음-알베도 피드백처럼 지표피복이 다시 대기환경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해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영향을 주면서 해양의 산성도를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그야말로 지구 시스템입니다. 그래.. 2022. 4. 1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14고기후 기후는 장기적인 대기의 상태입니다. 장기적이라는 말은 곧 축적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빅데이터의 시대를 맞이하다보니 데이터의 분석에 관심이 많은데, 사실 그보다 먼저 정확한 측정과 기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제대로 된 데이터가 아니라면 분석 결과도 엉망일테니까요. 그런 측면에서 기후는 데이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와이에서 측정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전 세계의 기후변화를 설명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떠올려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의 기후를 이해하고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려면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문제는 지구를 여러개 놓고 실험을 해볼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역사를 배우는 것처럼, 지구에서 과거의 기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 2022. 4. 19.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