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자료/사우고 수업자료(2017)40 036 상업 '장사하자 장사하자 오늘도 방실방실 웃는 대한민국의 하루~'상업은 간단하게 표현하면 장사입니다. 팔아야되는데, 팔려면 사는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세상에는 사람들이 사주는 곳이 있고, 그 곳에서 팔면 돈을 법니다. 어디에서 팔아야 사람들이 많이 사줄까요? 어디로 가야 하는지, 상업에 대해 알아봅시다.상업의 입지 조건은 전에 배웠던 중심지이론을 다시 꺼내오면 유용합니다. 상점이 유지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손님의 수가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10000명이라고 칩시다. 그렇다면 그 10000명이 공간적으로 한 지점에 살 수는 없습니다. 아마도 판자집이든 비닐하우스든 단독주택이든 아파트든 뭐가 되었든 집에 살거고, 일정간 공간이 주거 목적으로 사용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손님들이 어딘가에 살고 있게 되고.. 2017. 11. 28. 035 공업 "할아버지 할머니 어렸을 적에, 신으셨던 추억의 검정고무신~"하는 애니메이션이 있습니다. 내가 즐겨 봤어요. 사실이 또 그렇습니다. 할아버지 할머니 어렸을 때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지나면서 끼니와 생존을 걱정해야되는 험난한 시절이 있었는데, 여러분들은 평안하게 살고 있습니다. 신발도 편한걸 넘어서 예쁘지 않으면 사지도 않고, 급식도 맛이 없으면 먹지도 않습니다. 세계 밑바닥에 있던 나라가 이제는 세계에서 순위권에 드는 무역 대국으로 성장했습니다. 이 변화는 어떻게 일어난 것일까요? 답은 산업에 있습니다.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는 주요 원료 산지를 중심으로 한 가내수공업이 발달했습니다. 강화도의 화문석이나 한산의 모시, 담양의 죽제품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대한제국시기부터 일제강점기를.. 2017. 11. 21. 034 농업 농자천하지대본이라는 말을 혹시 알고 있나요? 시험이 끝나면 우리는 학교에 무려 열흘이나 나오지 않는 연휴가 시작됩니다. 왜 학교를 안나와요? 추석입니다. 추석에는 왜 쉬는거죠? 추석은 우리의 명절이라서요? 그럼 왜 명절이 된거죠? 수천년 이상 우리는 농경으로 살아왔습니다. 지금 이순간에도 여러분들은 음식을 먹지 않으면 살 수가 없구요. 그래서 사실 농업은 엄청나게 중요한 분야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농업에 대해 지나치게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농업은 결국 땅에서 짓기 때문에, 지리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농업은 자연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데, 현대에는 인문사회적 요인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기온이나 강수량, 무상일수, 일조량 등의 기후나 비옥도 등이 대표적인 자연적 요인입.. 2017. 9. 25. 이전 1 2 3 4 5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