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6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7지도의구성요소 지도는 땅 그림입니다. 지도는 그래서 땅 그림이 핵심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끝은 아닙니다. 지도는 약속이라서, 지도가 지도로 쓸모가 있으려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지도가 제공될때 해당 지도가 어떤 지도인지를 함께 밝혀주는, 지도 자체에 대한 정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지도의 구성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제목입니다. 사람에도 이름이 있는 것처럼, 당연히 지도에도 제목이 있어야 합니다. 사용 목적과 범위에 따라 판단할 수 있게, 제목은 지도의 내용과 반드시 일치해야합니다. 보통 제목은 지도의 상단이나 하단에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축척도 있습니다. 지도는 지표면을 줄여서 만들었으니, 그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반드시 알려줘야 합니다. 축척을.. 2021. 9. 10.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6통계지도 이번 시간에 다룰 주제는 통계지도입니다. 통계지도는 우리가 앞으로 자주 접할 지도의 형태입니다. 아무래도 공부를 할 때에는 일반도를 많이 보긴 합니다. 다양한 지리정보가 가득하니까요. 하지만 실제 지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때에는 주제도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지도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세지가 있는데, 정보가 너무 많은 일반도가 제시되면 메세지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제도가 흔한데, 주제도에서 표현하고 하는 정보가 숫자로 되어 있는 통계정보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래서 통계정보를 표현하는 통계지도를 접할 일이 많습니다. 통계는 어쩔 수 없이 지리와 밀접하게 닿아있습니다. 통계학은 statistics인데, state가 바로 국가입니다. 그러니까 통계학은 국가에 대한 정보를 모.. 2021. 9. 10.
공간정보와공간분석_05지도분류 작년에 수업할 때에는 온라인 수업도 항상 실시간쌍방향으로 꽉 채워서 했는데, 부담을 느끼는 친구들이 많았나봅니다. 올해 온라인 수업은 가급적 수업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해보겠습니다. 그 중 제일 중요한 것이 강의하는 분량을 줄이는 것 같아서, 한 차시에 다루는 내용을 작게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지도의 분류입니다. 사실 아주 매우 간단한 내용입니다. 잠깐만 집중하면 금방 이해됩니다. 지도는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 많은 지도 중에서 비슷한 특성을 공유하는 지도끼리 묶으면 유형화가 가능합니다. 생명과학의 발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분류학인데, 사실 여러분들이 배우는 모든 내용들에도 이러한 특성이 마찬가지로 나타납니다. 유형화를 잘 하는 친구들은 개념을 잘 이해하고, 공통점과 차이점.. 2021.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