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223

14 경제의 세계화 하. 이제 경제를 해봅시다. 경제는 결국 잘먹고 잘 살자는 이야기입니다. 경제의 흐름에 대해서 통합사회 시간에 배웠죠? 아담 스미스 이 아저씨 봤죠? 믿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럼 상업자본주의 그런거 얘기 안할거에요. 산업혁명 이후부터 가봅시다. 뭐 경제지리에서 경제 내용을 다 할 필요도 없죠. 무역 먼저 살펴봅시다. 이제 국가와 국가 사이에 재화나 서비스가 이동하면서 거래되는 것을 국제 무역이라고 합니다. 경제 중에서도 국제무역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나라마다 다 상황이 다르니까 발생하는 것이 국제 무역입니다. 뭐 말도 되지 않는 상상이기는 하지만, 아예 모든 나라의 상황이 똑같다면 굳이 무역이라는 귀찮은 건 안할겁니다. 그냥 국내에서 생산된 것 쓰면 되니까요. 현실적인 이야기를 합시다. 나.. 2019. 5. 14.
13 세계화와 문화 세계에는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무슨 바람? 바로 세계화의 바람입니다. 세계화는 사실 뭐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조선시대 육영공원의 교사였던 헐버트는 우리나라 최초의 순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만듭니다. 사민필지는 사대부와 백성 모두 반드시 알아야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뭐 미국인이 굳이 한글을 배워서 한글로 교과서를 만든 것만 봐도 널리 읽히길 바라는 마음이었을 것 같습니다. 근데 그 책이 뭐냐면, 지리교과서입니다. 하하하. 그 책에 서문에 보면 천하 형세가 옛날과 지금이 같지 않아서 지금은 만국이 서로 물건과 사람이 통해서 한 집안처럼 한다고 쓰여있습니다. 이게 세계화입니다. 만국이 한 집안같다잖아요. 그럼 그 세계화는 왜 왔나요? 중학교때부터 많이 나왔죠? 바로 교통기술과 통신기술의 발달.. 2019. 5. 2.
12 지역연구의 방법 다음 주에는 체험학습이 있죠? 그래서 체험학습을 갈 때에 수행평가가 진행된다고 안내했습니다. 그럼 체험학습 출발하기 전에 지역조사는 어떤 것인지 미리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합시다. 그 전에 지역의 의미나 지역의 규모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에 대한 논의는 사실 지리학에서나 중요하지, 지리학과 갈 게 아니라면 몰라도 사는 데에는 크게 지장 없을 것 같습니다. 지리학이라는게 처음 등장하던 시점 즈음의 이야기입니다. 특수성과 보편성을 먼저 살펴봅시다. 어려운 개념이 아니죠? 식사동에는 고양국제고등학교가 있습니다. 김포시 구래동을 보니까 국제고등학교가 있나요? 없는 것 같아요. 그럼 특수한 사실이겠죠? 개별 지역을 사례로 특수한 주제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 바로 특수성에 주목한 연구방식입니다. 근.. 2019.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