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223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5공간분석기능 이번 시간에는 공간분석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업으로 들으면 대단한 개념같다는 기분이 들지만, 사실 GIS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버튼 하나로 다 구현되어 간단합니다. 그다지 어렵지 않으니 슉슉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GIS에서도 기본적으로 레이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깔고 가겠습니다. 레이어 개념은 다소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1학년 때 사진을 촬영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편집하는 툴로 어도비의 포토샵을 배웠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은 익숙할 것 같아요. 투명한 유리 위에 지도가 놓여져 있고, 그 지도 여러 장을 차곡차곡 겹쳐서 원하는 결과를 얻어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러한 레이어를 편집하는 기본적인 기능들이 있습니다. 교집합처럼 원래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와 겹치는 부분만 따내는 경우도 있고, .. 2021. 10. 15.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4공간적의사결정 우리는 살면서 많은 결정을 내립니다. C가 B와 D 사이에 있다고 그러잖아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선택의 연속입니다.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이 많지만, 그 중 중요한 부분이 바로 공간적 의사결정입니다. 자본주의 사회니까 소비가 중요한데, 보통의 사람들이 가장 비싸게 사게 되는 것이 집과 차입니다. 집에 대한 고민은 어디서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것입니다. 차는 공간 상에서 이동하는 방법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공간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정보가 있어야하고, 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타당한 분석을 실시해야합니다. 그래야 잘못된 결정을 할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적 의사결정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원칙.. 2021. 10. 14.
공간정보와공간분석_13공간정보유형 오늘 배울 내용은 심플하기 그지없습니다.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벡터와 래스터입니다. 벡터 데이터에서 점선면을 표현하는 사례를 보면 바로 특성이 이해가 갑니다. 앞으로 실습하는 중에는 포인트, 라인, 폴리곤이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더 많을거에요. 공간상에 있는 객체의 위치가 좌표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좌표를 가지는 기하학적인 구조로 벡터데이터는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 세계에서 불연속적인 객체를 표현할 때 유리한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행정구역이 있습니다. 고양시에서 경계를 넘어가면 파주시인데, 마치 가우스함수처럼 뚝뚝 끊겨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벡터데이터의 사례로는 수치지형도가 있습니다. 말을 이렇게 번역해놓으니 엄청 어려운 것 같은 느낌인데, 사실 엄청 간단합니다. 지형도.. 2021.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