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

세계문제와미래사회_27천연가스&원자력

by Thisis Geoedu 2021. 8. 24.

안녕하세요. 다들 안녕하지는 못한 것 같네요. 그럴 줄 알고 내용을 많이 토막내왔습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천연가스와 원자력입니다.
20세기의 인류 문명은 석유를 중심으로 번창하고 있었는데, 1970년대에는 오일쇼크가 닥치게 됩니다. 석유가 펑펑 나오는 국가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국가들은 에너지가 국가의 운명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체감하게 되었거든요. 그래서 어떻게든 영토와 영해에서 석유가 매장되지는 않았는지 적극적으로 탐색하며, 에너지 공급을 안정화시키려는 전략을 모색합니다. 북해에서 석유가 나오는 영국은 그나마 낫지만, 프랑스는 입장이 완전히 달랐습니다. 에너지 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가 주목한 에너지가 바로 원자력입니다. 원자력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이 핵분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인데, 그 열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자력 발전은 석탄에 비하면 훨씬 적은 질량으로 막대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막대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석탄이나 석유는 연소하는 과정에서 대기오염물질이 엄청 발생하는데, 원자력 발전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습니다. 핵분열 과정에서 방사능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과학기술이 반드시 필요해서,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는 국가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사람이 하는 일이다보니 원자력 발전소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면 방사능이 누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사고가 나지 않더라도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면 방사성폐기물이 계속 발생하는데, 이를 처리해야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원자력 발전소는 안정적으로 핵분열을 통제해야하기 때문에 냉각수가 필요하고, 그래서 하천이나 해안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동시에 원자력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하면 큰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지반이 안정되고 대규모 인구밀집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 좋습니다. 미국이나 소련 등이 원자력 발전의 대표국이긴 하지만, 아까 얘기한 것처럼 프랑스에서 특히 원자력 발전의 비중이 높습니다.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발전은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이외에도 20세기 후반부에 관심이 급격하게 늘어난 에너지가 또 있습니다. 바로 천연가스입니다. 사실 천연가스는 석유가 매장된 곳에 같이 매장된 경우가 많이 있었는데, 그다지 사용을 많이 하는 편이 아니었습니다. 기체니까 부피도 크고 폭발의 위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냉동액화기술이 발전하면서 운반과 사용이 편리해지자, 에너지자원으로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석탄이나 석유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워낙 많다보니, 도시에서 스모그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거든요. 하지만 천연가스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적어서 산업용으로도 가정용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난방용 연료로 천연가스가 많이 보급되어 있는데, 도시가스를 이용한 보일러를 생각하면 됩니다.
천연가스는 국제정세에도 영향을 많이 줍니다. 천연가스는 육상구간이나 인접한 지역에서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천연가스 수출국과 수입국 이외에도 파이프라인이 지나가는 국가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천연가스 생산국인 러시아와, 대규모로 천연가스를 소비하는 유럽연합 사이에 있는 우크라이나가 있습니다. 근래에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다양한 혼란들의 기저에는 직간접적으로 러시아와 얽혀있는 맥락이 있습니다.
천연가스의 주요 수출국 중에는 서남아시아의 작은 국가인 카타르도 있습니다. 인근 서남아시아 국가들에 천연가스를 수출하는 것은 아니다보니, 선박을 이용한 LNG 수출이 활발합니다. 그럼 극히 낮은 온도에서 높은 압력으로 대량의 LNG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겠죠. 그렇습니다. 우리나라가 조선산업 강국이다보니 LNG 선박을 주문받으면 국가경제에 큰 도움이 됩니다. 지구 곳곳의 물자를 이어주는 선박이 워낙 중요하다보니, 특히 최근에는 선박에서 발생시키는 대기오염물질에도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기존 선박에는 저감장치를 부착하기도 하지만, 아예 LNG로 운행하는 선박도 많이 늘어나고 있어서 우리나라 조선소가 여러모로 관심받고 있습니다.
원자력과 천연가스는 지금 시점에서 생각해볼만한 점들이 있습니다. 관련된 고민은 스스로 해보는 걸로 하고,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