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223

07 자원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소중한 자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시간이 없으니 중학교에서 배운건 팍팍 넘어가겠습니다. 자원을 왜 배워야 하나요? 우리 인간이 풍요롭게 살기 위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자원의 분포나 특징을 살펴두면 더 풍요롭게 사는데 도움이 됩니다. 자원이 가지는 특성은 유한성, 편재성, 가변성이 있습니다. 쓰다보면 고갈되구요, 어딘 많은데 어딘 적구요, 그때그때 의미가 달라집니다. 가채연수라는 개념은 유한성을 드러내줍니다. 지금처럼 쓰면 몇 년이나 더 캘 수 있는지 알려주니까요. 자원이 지구상에 균등하게 분포한다면 지리시간에 강조할 이유가 많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디는 자원이 많고, 어디는 적어요. 자원을 수출하면 부를 얻을 수 있는데, 그 부는 누구의 것일까.. 2020. 6. 2.
06 종교 오늘은 종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종교는 인간의 삶과 죽음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의 원리를 이해시켜줍니다. 근데 뭐 그런 정신적인 믿음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런건 철학 선생님께 여쭤보구요. 종교가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로 이용되는 경우도 많고, 집단의 정체성을 이루면서 다른 집단과 구분하는데 널리 쓰이니까 살펴보려고 합니다. 특히 누군가의 삶에서 종교는 중요한 요소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 종교를 살펴보겠습니다. 게다가 문화지리에서 지역을 구분하는 요소로 종교가 널리 활용되기도 합니다. 종교는 크게 민족종교와 보편종교로 구분됩니다. 특정 민족만 믿으면 민족종교, 인류 전체에게 가르침을 전하면 보편종교라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 종교가 발전한다는 것은 교리가 체계화되고, 전문적으.. 2020. 6. 1.
05 언어 전 세계 언어가 하나라면 서로 싸울 일도 없을텐데. 그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만들어진 에스페란토라는 언어도 있습니다. 오늘 배울 내용은 언어입니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입니다. 넓은 보면 몸짓 등도 언어에 포함될 수 있지만, 좁게 보면 음성을 통해 전달되는 말만 언어로 봅니다. 전 세계에 언어가 몇 개쯤 있을까요? 학자마다 다르긴 하지만, 3천개는 되는 모양입니다. 언어가 몇 개인지를 세려면, 서로 의사소통이 되는지를 기준으로 분류를 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많다는 점입니다. 언어는 중요합니다. 왜요? 저번 시간에 배운 민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민족의 통일된 문화유산이고,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주는 가장 대표적인 문화입니다. 지리시간에는 문화지역을 구분하는 지표로 언어를 자주 활용합니다. 뭐 그렇다고.. 2020.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