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자료/고양국제고 수업자료(2021)5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4영토와경계 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 조금 남아있는 이론 하나 소개하고 그 다음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겠습니다.마한은 해양력, 맥킨더는 대륙세력을 중심으로 보는 이론이었습니다. 사실 다 고전지정학이라서 국가의 권력과 통치력과 군사력과 패권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대전 이후로 상황이 조금 바뀌었습니다.셰버스키는 러시아에서 태어났지만 미국에서 활동한 군인이자 사업가입니다. 당시엔 비행기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가면서, 정밀한 폭격이 가지고 있는 전략적인 가치도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셰버스키는 항공력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먼 거리를 날아가는 폭격기나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폭탄 등 항공자산을 가지고 있으면 상대국이 함부로 행동할 수 없게 됩니다. 특히 셰버스키가 주목했던 미사일, 우주전, 전자전 등의 중.. 2021. 3. 19.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3대륙세력 라첼이 지표 공간과 인간과의 관계에 주목해 인문지리학을 만들었고, 셸렌은 지리적 조건과 국가의 흥망성쇠에 관심을 가지고 지정학을 개념화했습니다. 그리고 마한은 해양력에 주목해서 국가의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해양이 아니라 대륙에 주목한 학자가 등장합니다. 본격적인 정치지리학은 바로 이 사람에서 출발합니다. 할포드 맥킨더. 지정학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하는 이 학자는 당시 독일에서 이제 막 태동기에 있던 이 학문이 가진 중요성을 깨닫고 영국에도 도입합니다. 특히 정치지리학의 기본이 되는 지리학에 많이 주목하였는데,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이어줄 수 있는 지리학의 특성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학문의 거대한 두 계열을 이어줄 수 있는 다리처럼 기능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명문대학교로 꼽히는 런던정경.. 2021. 3. 17.
세계문제와미래사회_02해양세력 오늘 배울 내용은 해양세력입니다.크게 어려울 것도 없습니다. 간단하게 하고 넘어갈게요. 요약하자면, 바다의 주인이 곧 세계의 주인이라는 뜻입니다.한번 지구를 평소와 다른 눈으로 볼까요? 사실 지구라는 이름부터 의심스럽습니다. 지구의 별명이 뭔가요. 블루 마블, 파란 구슬입니다. 지구 표면의 대부분은 사실 땅이 아니라 물로 덮여 있습니다. 어쩌면 지구가 아니라 수구가 아닐까요? 지구본이나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가상의 지구를 태평양을 중심에 두고 보면 거의 대부분이 파란색으로 덮여 있는 수반구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반대편이 육반구이긴 한데, 육반구조차도 바다가 더 넓습니다.이런 생각을 가지지 않았던 것은 우리가 육지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도를 그릴 때에도 항상 육지 중심으로 그리게 됩니다.. 2021. 3. 15.